개인의 성장을 돕는 효과적인 피드백 문화

a.k.a NBT 생존 도구

인사평가란, 근로자의 업무적인 역량이나 성과를 측정하여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현재 대다수의 기업에서 매년 인사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자연스럽게 인사평가를 경험해왔을 겁니다.

하지만 완벽한 인사평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직장인 10명 중 7명이 인사평가 결과에 불만족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최근 잡코리아의 설문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의 70%가 “평가 절차 및 시스템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불만족한다고 말했습니다. 인사평가에 불만족한 직장인 2명 중 1명은 이직이나 퇴사를 결심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대다수가 만족하지 못하는 인사평가. 그런데 애초에 인사평가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NBT에는 인사평가가 없습니다.

NBT에서는 왜 피드백을 생존 도구라고 부를 만큼 중요하게 여길까요?

첫째로 우리는 극단적인 자기주도성을 추구합니다. 업무에 대한 통제와 관리를 최소화하며, 구성원은 ‘계획 – 실행 – 리뷰 – 학습 – 공유’의 모든 과정을 스스로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구성원이 자신의 업무를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하기 때문에 리더가  업무의 방향성을 지시하거나 교육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에 시장의 피드백・동료의 피드백을 받으며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더 나은 방향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즉, 구성원은 피드백을 통해 주도성을 갖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우리는 다원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합니다. 다양한 전문성과 관점을 지닌 구성원들이 함께 부딪히며 일하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대안이 지속적으로 충돌하고, 보완되고, 조합되는 치열한 환경 속에서 전에 없던 창의적인 솔루션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구성원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은 ‘최적의 해결 방법’을 도출해내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4가지 원칙

일반적으로 피드백은 단순히 ‘상대방에 대한 칭찬이나 지적’ 정도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NBT에서는 피드백을 동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찰’을 기반으로 한 성장을 위한 제안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피드백을 활용해서 일을 통한 학습 경험과 점진적인 개선을 추구합니다. 또한 이를 통해 조직과 개인이 ‘함께 자라기’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해 4가지의 원칙을 제시합니다.

  • 그로스 마인드셋
  • 정확한 관찰
  • 완전한 솔직함
  • 빠른 전달
상시 피드백과 정기 피드백

상시 피드백 70%

  • 실시간으로
  • 최대한 자주
  • 자유롭게

정기 피드백 30%

  • 매 6개월 마다
  • 장기적 관점에서
  • 체계적으로

상시 피드백은 실시간으로, 자유롭고 가볍게 진행합니다. 피드백이 필요하거나 전달해야 할 때는 기다림 없이 자리로 찾아가거나 메신저를 통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피드백에 적시에 제공되면 맥락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행동의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피드백 반영 여부는 받는 사람이 직접 결정하기에 반드시 완벽하게 정제되거나 옳은 피드백일 필요도 없습니다. 상시 피드백은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으며, 1 on 1 미팅이나 간단한 티타임을 통해서 진행되기도 합니다. 팀 단위의 피드백은 주로 스탠드업 미팅이나 회고・리뷰・킥오프 미팅 등 함께 모이는 시간을 활용합니다.

슬랙을 활용해 자유롭고 솔직하게, 상시로 피드백을 주고 받습니다.

반면에 정기 피드백은 장기적 관점에서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구성원마다 6개월에 한 번씩, 본인 및 협업 동료가 서면으로 피드백을 작성하게 됩니다. 정기 피드백을 작성하는 항목은 4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Flash Back : 어떤 일을 함께 하셨나요?
  • PLUS : 어떤 점들이 탁월했었나요?
  • MINUS : 어떤 점들이 부족했었나요?
  • Flash Forward : 피드백 대상자를 위한 조언을 해주세요.

이렇게 정기 피드백이 모두 취합된 후에는 본인과 동료들에게 투명하게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드백 내용이 공유된 후에는 리더와 함께 읽고 논의하는 피드백 세션을 가집니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내용들은 다음 미션이나 업무에 반영하게 됩니다.

더불어 정기 피드백의 내용은 오직 구성원의 성장에만 활용하며, 평가나 처우 조정 등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활용하지 않습니다. 합류 초기 트라이아웃(수습) 기간에는 정기 피드백을 6주 단위로 진행합니다!

✔︎ PLUS : 어떤 점들이 탁월했었나요?

  • 이제 신입으로 입사한지 1년이 지났는데 숙련자 수준의 역량을 보여주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매체연동・리퀘스트 처리 등 작은 업무부터 시작하여 시스템을 빠르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규 개발이나 코드 리뷰 시 적극적으로 의견을 주고 계십니다.
  • 과제를 진행할 때 요구 사항이 구체적이지 않은 경우도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이를 문서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문서화는 다른 팀의 활동이나 정기 시스템 모니터링 등 스스로 작업한 것 외에도 차곡차곡 잘 쌓아서 팀의 역량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기여를 해주고 있습니다.
  • 업무를 진행하는 기본적인 사이클을 잘 이해하고 현재 할 수 있는 범위를 계속 확장하며 진행해주시는 부분이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 MINUS : 어떤 점들이 부족했었나요?

  • 구체화하는 부분이 장점인 반면, 반대로 추상화하거나 전체적인 관점이 아쉬운 부분들이 있습니다.
  • 때때로 본인의 이해와 협업 팀의 제품 이해 수준이 동일하기를 기대하고 너무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협업 팀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계층화할 수 있다면 더 좋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최근 SDK 연동 시에 이야기한 것처럼 나의 구현에서 전체 과제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업무를 진행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Flash Forward : 피드백 대상자를 위한 조언을 해주세요. 

  • 이제 본격적으로 큰 과제들을 함께 진행할텐데, 기존에 사이클을 잘 맞추기 위해서 큰 과제도 본인 스스로 관리하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면 좋겠습니다. 장점인 구체화와 집요함을 잘 살리면서도 중간 중간 너무 깊이 빠지지 않는지 스스로를 관조한다면 개인에게도, 팀에게도 좋은 성장을 보여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욱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해…

‘상시 피드백’과 ‘정기 피드백’ 외에도 구성원들이 피드백을 더욱 효과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팀 상황에 맞는 다양한 정기 미팅을 자율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가 끝난 후에 리뷰를 진행하거나, 협업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회고를 주기적으로 갖기도 합니다.

애디슨 팀은 협업 방식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정기적인 회고 미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NBT의 피드백 시스템과 원칙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피드백 문화는 정보 공유의 투명성과 관심에서 시작됩니다.
전사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나 개인의 업무 및 결과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늘 열려 있고, 모두의 성장을 위해 리더뿐만이 아닌
구성원 전체가 끊임없이 관찰합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진심 어린 피드백을 주고 받으려 계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NBT의 문화는 우리 모두가 함께 지켜 나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