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브랜드는 설 명절 캠페인을 위해 오퍼월 광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설 명절 마케팅을 위한 오퍼월 캠페인 사례
애드테크 인사이트 #.7
설 명절은 가족・친척・지인에게 선물하기 위한 수요가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각 브랜드에서는 다양한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준비하는데요. 이러한 명절 시즌에 리워드 광고 또는 오퍼월 광고를 활용하는 것은 고객의 참여 및 구매를 유도하는 전략적 접근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명절 시즌을 공략하기 위한 오퍼월 마케팅 사례와 인사이트를 살펴보겠습니다.
1. 명절 2주 전부터 광고 참여수가 26% 이상 증가합니다.

명절 시즌에는 새로운 제품을 발견하거나 프로모션 혜택을 활용하기 위해 평소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이 오퍼월 광고를 탐색합니다. 일시적으로 광고 참여가 늘어나는 시기를 미리 공략한다면 평소보다 더 높은 광고 효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명절 2주 전부터 오퍼월 광고를 집행한다면 더 많은 잠재 고객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2. 구매형 광고의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명절 시즌에는 ‘CPS(구매형) 캠페인’이 73.6%로 집행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추가 혜택을 얻고 싶은 고객들이 상품 구매를 목적으로 오퍼월을 방문하기 때문에 ‘첫 구매 시’ 또는 ‘특정 금액 이상 구매 시’ 리워드를 제공하는 캠페인을 활용한다면 높은 거래액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환율이 높은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 또는 명절 프로모션 종료일이 임박한 경우에는 ‘CPC(유입형) 캠페인’의 광고 효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3. 유통 카테고리의 광고 집행 규모가 가장 큽니다.

명절 시즌에는 가족・친척・지인에게 선물하기 위한 수요가 늘어납니다. 이 때문에 유통(이커머스) 카테고리에서 가장 큰 규모의 오퍼월 캠페인를 집행합니다. 특히 명절 시즌에는 ‘거래액 최대 확보’를 목표로 멀티 캠페인을 집행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프로모션 기간에 ‘2만원 이상’, ‘3만원 이상’, ‘5만원 이상’ 등 구매 금액 구간과 보상 수준이 다른 캠페인을 동시에 집행하여 최대한 많은 거래액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유통 업종 명절 캠페인 집행 패턴
시기 |
목적
|
캠페인 종류
|
~연휴 3주 전
|
신규 고객 확보
|
CPS : 첫 구매 캠페인
|
연휴 2주 전 ~연휴 직전 주
|
거래액 확보
|
CPS : 멀티 캠페인 (ex – 2만원 이상/ 3만원 이상/ 5만원 이상)
|
연휴 직전 주~
|
트래픽 확보
|
CPC : 유입형 캠페인 |
4. 라이브커머스와 연계된 오퍼월 캠페인이 거래액을 높입니다.

데이터 분석 기업 씨브이쓰리의 ‘2023 라이브커머스 결산 리포트’에 따르면, 2023년 라이브커머스의 방송 평균 거래액은 작년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이 리포트에서는 오퍼월을 활용한 유입 마케팅이 활성화되면서 거래액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오퍼월에서는 소비자가 직접 관심있는 라이브 방송의 알림을 신청하고 알림 받은 방송을 바로 시청하도록 유도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퍼월 리스트에서 방송 타이머를 활용하여 주목도를 높이고 특정 시간 동안 방송 시청을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5. 배송 마감 이후에는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활용한 캠페인이 증가합니다.

일반적으로 연휴 3~7일 전에는 원활한 출고를 위해 택배 배송이 마감됩니다. 배송 마감으로 인해 명절 선물의 구매 시기를 놓친 고객들은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배송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모바일 쿠폰이나 상품권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카카오톡 선물하기 입점한 브랜드의 경우, ‘카카오톡 혜택쌓기 CPC 캠페인’을 이용해 잠재 고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목적별 오퍼월 광고 추천 상품
광고 목적
|
추천 상품
|
• 전환율이 높은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경우
• 단기간 대규모 트래픽이 필요한 경우
|
|
• 설 명절 시즌에 거래액을 높이고 싶은 경우
|
|
•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하는 경우
|
|
•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방문자수를 늘리고 싶을 때
|
• 카카오톡 혜택쌓기 CPC (선물하기 랜딩)
|